left: Jean Chardin, Soap Bubbles, 1794 / middle: Mongolfier’s balloon at Versaille, 1783 / right: Unknown
“a dream of what thou wast …. a breath, a bubble.” —William Shakespeare, Richard III
Playcloud is an architecture of air. This project explores the narrative potential of a pneumatic and fabric structure. We not only look at the utopian implications of the pavilion, but also seek a practical and sustainable solution to construct. The inflatable frame is a stand-in for temporariness, playfulness, lightness, and the transitory. It lets us ask two questions, “How in control are we of this structure, these narratives to be set up as temporary construction?” and, “Why is vision so central to the pavilion?”
놀이구름은 공기의 건축이다.이 프로젝트는 공기막과 패브릭구조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 우리는 파빌리온의 유토피안적 해석을 넘어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구축의 방법을 제안한다. 공기에 의해 부풀려지는 구조는 일시성, 즐거움, 가벼움 그리고 지속되지 않는 현상으로 함축된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에게 두가지 질문을 던진다. 개념적 이야기와 실제 구축 사이의 간극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의 개입이 필요한가? 또한 왜 이러한 개념이 이 구조물의 핵심이 되어야 하는가?
This proposal started began with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ry pavilion. Governors Island, 800 yards from Manhattan, had been closed to the public for many years. Its flat landscape and lack of landmarks, made it a difficult location to promote when compared to the nearby Liberty Island and its iconic Statue of Liberty. To overcome the low public’s awareness of the destination, we proposed an artificial cloud pavilion. Playcloud is a new landscape of the festival on this island to stimulate people’s curiosity.
이 프로젝트는 파빌리온의 장소성으로부터 시작된다. 뉴욕 맨해튼으로부터 0.7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거버너스 아일랜드는 2004년까지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은 미지의 섬이었다. 더욱이 자유의 여신상이 위치한 리버티 아일랜드와는 대조적으로 주요 지형지물이 없는 평탄한 풍경으로 대중에게 인지도가 적은 섬이다. 이러한 시간성과 장소성의 극복을 위해 우리는 인공의 구름 파빌리온을 제안한다. 파빌리온은 공기로 채워지는 상부구조와 실의 장막으로 구성되는 하부구조로 이루어진다. 사람들은 맨해튼의 고층빌딩이나 주변의 인접한 섬들로부터 약 20m 높이에 떠있는 인공의 구름을 목격하게 된다. 이를 통해 파빌리온은 장소의 문화적 경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피그먼트 예술축제를 알리게 될 것이다.
PLAYFULNESS : Playcloud aims to interact with people. People are allowed to touch the inflatable structure, as well as to sit and lean on it. The pavilion actively engages its environment. It gently sways from the wind and people’s actions. It also expands and contracts with the change of air pressure and temperature, almost appearing to breathe and causing the yarn hanging from the balloon to sway. The subtle motion of the pavilion is reminiscent of a swimming jellyfish.
플레이 클라우드는 사람과 소통한다. 재료와 구조의 물성에 의해 방문객은 파빌리온과 촉각을 통해 소통하며 동시에 그곳에 몸을 기대거나 앉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접촉은 공기막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구조물 전체가 섬세한 팽창과 수축, 그리고 유기적인 흔들림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방식에 반응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파빌리온의 하부 구조인 실의 장막은 그곳을 점유하는 사람들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을 만든다. 이는 위로부터 늘어뜨려진 실타래의 밀도차이와 방문객의 다양한 행위에 의해 가능하며 실장막 전체의 투과도 변화를 만든다. 방문객은 어떤 식으로든 실의 장막과 접촉하게 되고 이는 입면의 섬세한 열림과 닫힘의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는 이곳을 방문하는 행위 자체가 인간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통해 놀이로 규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플레이 클라우드는 환경에 반응한다. 공기 구조물은 바람에 의해 미세하게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며 또한 그곳의 압력과 온도 차이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호흡하는 생명체와 같이 숨을 쉬게 된다. 동시에 섬세한 파빌리온의 움직임은 공기 구조물로부터 늘어뜨려진 수 천 개 실들의 유기적 흐름을 만든다. 이러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은 마치 해파리가 바다 속을 유유히 헤엄치는 모습을 연상시킬 것이다.
LIGHTNESS : Playcloud has a light, simple structure. The pavilion consists of an inflatable structure and yarn. In conventional architecture, walls and pillars support a roof, here, it is completely the reverse. The floating cloud reaches a maximum height of 55 feet and is tied to the ground using 1,800 pieces of yarn. This thread curtain fixes the balloon to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defines the cultural boundary. The light structure makes the pavilion sustainable. It does not require a thick foundation, nor would it damage historic site conditions. Additionally, the transport and storage volumes of the inflatable structure are minimal.
가벼움 : 플레이 클라우드는 얇은 외피로 둘러싸인 기체의 건축이다. 이러한 가벼운 구조는 파빌리온의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든다. 역사적인 가치로 보존이 필요한 대지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터파기와 기초가 필요 없는 자립구조로 구성되며 이는 지속가능한 파빌리온을 구축 가능케 한다. 또한 구조 재료 역시 운송 및 적재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파빌리온을 짓는데 필요한 자재는 3.2 큐빅의 박스 크기로 줄여질 수 있다. 자재의 이동성과 가벼움은 섬으로의 운송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운송, 설치 등의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 한다.
SPACE : Public events, including performing art, lectures, debates, and relaxation, demand extremely flexible space. The Playcloud creates a vibrant public space, offering diverse artistic and educational events. As a circular space, interior can be easily reconfigured to meet its need with a varying layout.
As a cultural boundary, the yarn curtain hanging under the balloon forms a half indoor, half outdoor space. People can open the curtains as they need to expand the space. The curtain is not meant to limit space, but to represent a new way of opening it. The threads create an illusion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people. Its transparency, translucency, and opaqueness are determined by the threads’ density, human ac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