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School Complex

남양주시에 위치한 동화고등학교는 1950년에 개교하여 주변 도시조직과 함께 성장해왔다. 학교 캠퍼스는 초기 마스터플랜 없이 10~20년의 격차를 두고 지어진 건물들이 공존하고 있다. 새로 들어선 어울림동은 노후된 식당을 철거하고 다양한 쓰임새를 위해 증축된 복합 공간이다. 컴플렉스(Complex)라는 명칭처럼, 장소의 복합성을 드러내는 한편 통합된 집합체로서 확장된 교류를 암시한다.

건물에는 문화, 체육, 식음, 관리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기존에 있던 박스 형태의 단층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지의 단차를 이용해 1층 관리 공간으로 사용되며, 2층은 학생들의 식음 공간, 3층은 야외 농구장과 400석 규모의 공연장을 갖춘 문화 및 체육 공간으로 계획됐다. 다목적 공연장은 다양한 문화활동이 가능한 플랫폼으로서 단차 없는 무대가 공원을 향해 열린 개방형 문화, 교육공간이다.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구조이자 외피인 그리드 프레임을 통해 하나의 집합체로 통합된다. 그리드의 구조 프레임은 큰 건물을 작은 스케일로 분절하고 외부 동선과 사이니지를 통합하여 입면에 깊이를 형성한다.

학교 캠퍼스의 중심부에 위치한 복합공간은 교류와 마주침의 교차로를 형성한다. 시작은 이곳으로 접근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흐름을 건축화하는 일이다. 3개층을 연결하는 서측의 외부계단은 내외부를 관통하며 서로 다른 사용자의 동선을 연결한다. 또한 건물 하부를 가로지르는 경사로와 계단은 학교 내 크게 비워진 운동장과 정문의 마당을 잇는다. 마지막으로 동측 운동장에서 시작되는 100m 길이의 느슨한 경사로는 식당과 공연장, 농구장으로 이어지는 동선을 이룬다. 다양한 동선 체계는 프로그램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다수가 모이고 흩어지는 사용자의 밀도를 분산시켜준다. 또한 건물을 오르내리는 사용자들이 형성하는 역동적인 경관은 직교체계의 건축에 유동적인 흐름을 형성하며 복합시설로서 그 정체성을 보여준다.

 

D School Complex

Dongwha High School in Namyangju-si was established in the 1950s and has expanded alongside its surrounding urban fabric. The school campus coexists with buildings that were built over a period of 10 to 20 years, without an initial master plan. After demolishing the dilapidated canteen, the newly constructed D School Complex was extended to include multi-purpose spaces. This place, which lives up to its name as a complex, encourages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interaction as a consolidated assembly of structures while also underscoring the conceptual complexity of the place.

The building houses cultural activities, physical education, dining facilities, and management programmes. By making use of the difference in height, the existing concrete, box-shaped, one-storey structure on the first floor is now being used as a management space. The second floor was designed as a space for students to eat and drink, and the third floor was designed as a space for cultural and physical education with an outdoor basketball court and a 400-seat performance hall. As a platform for a variety of cultural activities, the multi-use performance hall is an open-type cultural and educational space that faces the park without any striking differences in height. Various programmes have been consolidated into a single aggregate through the grid frame of structure and envelope. The grid frame as a structure divides this large building into smaller units and also consolidates outside circulation and signage to create a sense of depth across the elevation.

The multi-complex space located at the centre of the campus serves as a crossroads for interaction and encounter. The first step in the design process was to architecturalise the movement of diverse users approaching this area. The three stories are connected by outdoor stairwells on the west side, which penetrate both the exterior and the interior to connect each different passing circulation route. A ramp and a stairway that traverse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connect the spacious, emptied schoolyard to the yard at the main entrance. Lastly, the gently sloping, 100m-long ramp begins on the east side of the schoolyard and forms a circulation path that reaches the canteen, performance hall, and basketball court. Various circulation systems disperse users into calmer channels, avoiding excessive burden on the circulation routes—the majority get together and scatter quickly due to the nature of the spatial programme. Moreover, the dynamic scenery formed by users who walk up and down the building is expressed here as part of its identity as a multi-complex facility, privileging a flexible flow in this orthogonal system-based architecture.

 

 

 

 


Axonomatric